불교상식/교리문답
벼랑 끝에 선 고려 태조 왕건을 살린 은신처, 비슬산 은적사

기도의 종류

관리자 | 2006.11.11 11:35 | 조회 3345



             기도(祈禱)의 종류

 ①관음기도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중국, 일본에 가장 뿌리 깊이 내린 것이 관음신앙입니다. 이 관음신앙과 연관된 경전은 《반야심경》,《천수경》,《법화경》 등이다. 이 경전은 다른 경전보다 세상에 가장 많이 보급되어 구입하기가 쉽습니다.

관세음(觀世音)보살은 산스크리트어 아바로키떼스바라(Avarokitesvara)를 뜻으로 옮긴 말입니다. 관자재, 관세음, 관음 등으로 음역하기도 합니다.
관세음이란 세상의 모든 소리를 다 관찰한다는 뜻이며, 사바세계의 중생들이 괴로움에 허덕일 때 관세음보살의 이름을 불러 구원을 청하면 32응신(應身)으로 몸을 나타내어 구원해주십니다.

관음보살상은 어머니같이 인자하시고 자비로우시며 후덕한 모습으로 왼손에 연꽃을 들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 연꽃은 중생이 본래부터 구비하고 있는 불성을 표현한 것입니다.
중생이 관세음보살님께 귀의하고 그의 명호를 부르거나 찬탄, 공양하면 이런 공덕이 있다고 합니다. 불에도 타지 않고 물에도 떠내려가지 않으며, 바람에도 날리지 않고 칼과 몽둥이에 잘리거나 다치지 않으며, 귀신에게 시 달리지 않고 쇠고랑을 차지 않으며 도적의 두려움에서 벗어날 수 있게 해주신다.
또 항상 관세음보살을 생각하고 공경하면 욕심 많은 사람은 욕심을 여의게 하고 아들을 원하면 아들을 낳고, 딸을 원하면 어여쁜 딸을 낳을 것이다(법화경)〈보문품〉


②지장기도

우리나라의 지장신앙은 삼국시대부터 매우 성행하였습니다. 지장보살님은 부처님의 부촉을 받아 도리천에서 중생의 근기를 관찰하고 무불세계(無佛世界)의 육도중생을 교화하는 대비(大悲)보살입니다.

지장보살님은 지혜와 자비를 구족하고 있으며 특히 자비의 실천을 강조하신 분입니다. 지장보살님은 지옥에서 고통받는 중생들이 모두 성불하기 전에는 결코 깨달음을 이루지 않겠다는 서원을 세우신 대비원력의 보살이십니다.
이 보살님은 항상 지옥에 계시면서 오늘도 육도(지옥, 아귀, 축생, 아수라, 인간, 천상)를 윤회하는 중생들을 구제하고 계십니다.

《지장보살본원경》에 의하면 지장보살을 예배하고 공경하면 이런 공덕이 있다고 합니다. 풍년이 들며, 집안이 편안하고, 죽은 조상이 천상에 태어나고, 부모가 장수하며, 원하는 것을 얻으며, 수재나 화재가 없고, 헛되이 허비하는 것이 없으며, 나쁜 꿈이 없고, 출입 시 신장 이 보호하며, 훌륭한 인연을 많이 만날 것이다.

지장 신앙은 우리 나라를 비롯해서 중국, 일본 등 여러 나라에서 봉행되고 있습니다. 이 신앙이 널리 신봉되는 것은 《지장보살 본원경》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부모가 장수하고', '조상이 천상에 태어난다'는 효사상의 영향입니다.
특히 우리 나라에서는 선망부모와 일가친척, 그리고 제반 천도의식을 봉행 할 때 지장기도를 많이 봉행하고 있습니다.



③약사기도

인간이 한평생을 살아가면서 몸이 아프고 병이 들고 늙고 죽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입니다. 그래서 인간은 아픈 몸을 다스리기 위해 여러 가지 처방을 쓰기도 합니다.
그러나 부처님께서는 일찍이 만가지 모든 병은 마음에서부터 생긴다고 하는 것을 깨달으시고 모든 중생들에게 마음을 먼저 다스릴 것을 강조하셨습니다. 그것이 바로 병의 근원인 탐욕과 성냄과 어리석음을 없애는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그것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이 세상에는 사람의 모습과 인종, 그리고 문화가 각기 다르듯이 욕심을 버리고 건강한 삶을 살아가는 사람이 있는 반면에 아프고 병든 사람도 있게 마련입니다 그와 같이 병들어 아픈 사람들이 그 병을 다스리기 위해 약사여래 부처님께 기도 정진하는 것을 약사기도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약사전이 있는 사찰은 약사여래를 모시고 있으며, 이런 사찰은 아픈 사람이 기도 정진하여 치병의 효과를 보았다는 기록이나 설화가 많습니다. 약사여래는 정확하게 말한다면 약사유리광여래 부처님입니다.
약사여래가 계시는 세계의 이름이 동방에 있는 정유리세계이므로 동방 정유리계의 교주라고 지칭되기도 합니다.

약사여래신앙의 모체인 《약사유리광여래본원경》에는 약사여래의 12가지 서원이 나옵니다. 그 중에서 여섯 번째와 일곱 번째 서원이 정신적, 육체적 병고의 해결과 회복입니다.
그 다음으로 생명을 연장하는 방법을 설하고 12가지 '원을 성취시켜주는 신령스런 주문'을 들고 있습니다. 이러한 약사여래의 가피를 구하고자 하는 것이 약사여래 기도이며, 5세기 무렵 수나라 시대부터 민간에 유행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④칠성기도

우리 민족은 불교가 들어오기 이전부터 산천과 하늘을 숭배했습니다.
즉 칠성은 하늘, 산신은 대지, 용왕은 물의 상징이자 그 세계의 지배자를 뜻합니다. 불교가 전래되자 산신과 칠성은 자연스럽게 사원의 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고 불교와 융합하여 계승되었습니다.
이것이 후대에는 도교나 민속신앙과 합쳐져 칠성이나 산신, 용왕에 대한 예경으로까지 이어졌습니다.

옛부터 우리나라 사람들은 산신과 칠성에 대한 신앙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였습니다. 특히 자손창성, 부귀영화, 수명장수를 기원할 때는 일반적으로 칠성기도를 올립니다 이것은 태양을 숭배하며 하늘의 자손이라 생각했던 조상들의 전통과 관습에서 비롯한 것입니다. 이처럼 칠성신앙은 바로 재래의 토착신앙과 불교가 엮어낸 문화입니다.



⑤참회기도

참회기도는 진실하지 못한 마음으로 그 동안 알게 모르게 지은 모든 죄업을 소멸하기 위해 부처님께 그 잘못을 뉘우치고 참회하는 것을 말합니다.
즉 참회기도에는 이참(理懺)기도와 사참(事懺)기도가 있습니다. 이참기도는 과거와 현재에 지은 모든 죄업은 마음에서 생긴 것이며. 마음 바깥에서 일어나는 것은 하나도 없다고 관찰하며 기도하는 것입니다.

즉 자신의 마음이 본래 공적(空寂)한 줄을 알아서 모든 죄의 모습도 공적함을 보는 것을 말합니다. 사참기도는 몸으로는 부처님께 예배를 드리고, 입으로는 부처님을 찬탄하며, 마음으로는 부처님의 성스러운 모습을 그리면서 과거와 현재에 지은 모든 죄를 참회하는 기도입니다.

참회할 때 외우는 것을 참회문이라 하며, 우리 나라에서는《화엄경》〈보현행원품〉에 '지난 날 지은 모든 악업은 무시이래 탐욕, 성냄, 어리석음으로 말미암아 몸과 마음으로 지었사오니 제가 이제 그 모든 것을 참회합니다.' 등의 예가 있고, 또 《천수경》에는 '죄는 자성이 없으니 마음 따라 생길 뿐, 마음이 멸할 때 죄도 없어지네, 죄와 마음이 함께 없어져 모두 공하면, 이것이 바로 참다운 참회라 한다'고 하였으며 신라 때의 원효스님은《대승육정참회문》을 지어 참회의 본 면목을 보여 주고 있습니다.

또 서산대사도 〈선가귀감〉에서 참회를 이렇게 정리하고 있습니다. 허물이 있으면 참회하고 잘못된 일이 있으면 부끄러워할 줄 아는 데에 대장부의 기상이 있다. 그리고 허물을 고쳐 새롭게 되면 그 죄업도 마음 따라 없어질 것이다.
즉 참회란 먼저 지은 허물을 뉘우치고, 다시는 짓지 않겠다고 맹세하는 일이다. 부끄러워한다는 것은 안으로 자신을 꾸짖고 밖으로는 드러내는 일이다.
마음이 본래 비어 고요한 것이므로 죄업도 붙어 있을 곳이 없다.

              

[알림] 본 자료는 대전 계족산 용화사에서 제공된 자료입니다.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