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상식/교리문답
벼랑 끝에 선 고려 태조 왕건을 살린 은신처, 비슬산 은적사

불교의 보배 세가지

관리자 | 2006.08.12 07:22 | 조회 1078

불교의 보배 세가지

1)불보 2)법보 3)승보

1.불보

불교의 첫째 보배는 부처님이다. 부처란 깨달음을 성취한 각자(覺者)를 뜻한다. 불보에는 깨달음을 성취한 모든 부처님, 즉 석가모니(釋迦牟尼)를 비롯하여 과거, 현재의 부처님 뿐 아니라 앞으로 깨달음을 얻을 미래의 모든 부처님까지도 포함된다.

보배중의 보배인 부처님은 천상천하에 으뜸가는 참 스승이다. 또 지혜의 자비 복덕이 원만하여, 모든 중생의 복밭이다. 자비로운 아버지인 부처님은 마치 부모가 자식을 사랑하듯이 중생을 위해서는 지옥의 고통도 마다하지 않는 큰 자비를 베풀어 준다.

모든 법을 통달하여 세상을 비추어 보는 지혜인 대원경지(大圓鏡智), 모든 법이 본래 평등하여 하나의 본바탕을 지니고 있음을 통찰하는 지혜인 평등(平等)성지(性智), 모든 중생의 업(業)과 근성(根性)을 빠짐없이 살펴보는 지혜인 묘관찰지(妙觀察智), 중생을 제도하는 대자유 자재한 방편의 지혜인 성소작지(成所作智)등을 고루 갖추고 중행을 고통에서 구제(救濟)해 주는 이가 바로 부처님, 불보이다.

2. 법보

불교의 둘째 보배는 법보, 즉 부처님이 깨달은 진리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부처님의 설법을 담아놓은 경(經), 율(律), 논(論) 3장(藏)을 가리킨다.

모든 중생으로 하여금 온갖 탐욕과 집착, 생사윤회의 고통에서 벗어나 위없는 즐거움과 밝은 지혜를 얻게 하며, 궁극적으로 깨달음을 성취할 수 있도록 이끌어 주는 길잡이가 돼는 부처님의 가르침이 모두 법보에 속한다.

3장 중에서, 경장(經藏)은 부처님의 가르침을 기록해 놓은 것을 말하며, 석가모니의 입멸직후부터 여러차례의 결집과정을 거쳐서 성립되었다.

초기 경전에는 아함경, 법구경, 자타가, 백유경, 유겨경 등이 있으며, 보다 후대에 성립된 대승(大乘)경전에는 반야경, 반야심경, 금강경, 법화경, 열반경, 유마경, 화엄경, 무량수경, 아미타경, 능가경 등이 있다.

율장(律藏)에는 불교수행자로서 모름지기 지키고 따라야 할 교단의 생활수칙과 수행구범이 세밀하게 정립되어 있다.

논장(論藏)은 후대에 수많은 스님들이 경장과 율장을토대로 하여 교리내용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논의한 내용들을 담아놓은 것이다

3. 승보

승(僧)이란 승가(僧伽)를 줄인 말이다. 본래 산스크리트어인 ‘상가’의 음역어인 승가는 ‘화합(和合)대중(大衆)’을 뜻한다.

승보는 부처님을 따르고 그 가름침대로 살기를 서원한, 살아 숨쉬는 보배이다. 승보가 없는 불교는 정년 죽은 불교이다. 따라서 승보는 불교를 지탱하고 후손에게 불려줄 진리의 맥을 이어 나간데 필수 불가결한 척추와 같다.

승가는 4중(衆) 또는 7중으로 분류 된다

4중이란 비구, 비구니, 우바새 우바이 등을 말하며, 7중은 비구와 미구니, 우바새와 우바이 외에, 사미, 사미니, 식차마나 등을 포함하여 일컫는 말이다. 비구와 비구니는 남녀 스님을 각각 말하며 우바새, 우바이는 각각남녀 재가(在家) 신자를 뜻한다. 7중 중에서 우바새와 우바이를 제와한 5중은 모두 출가 수행자이다.

[비구(比丘)]

출가 수행자로서 20세 이상의 남자스님을 비구라 하며, 250종의 계(戒)를 지켜야 한다

흔히 걸사(乞士)라고도 하는데, 출가한 비구는 위로는 부터님에게 법을 구하여 지혜의 목숨을 기르고, 아래로는 일반 사람들에게 음식을 구하여 몸을 기르기 때문이라한다.

또한 비구는 마왕과 그 권속들에게 두려움을 준다고 하여 ‘포마(怖魔)’라고도 하며, 계(戒) 정(定) 혜(慧) 3학(學)을 닦아서 모든 악(惡)을 없엔다는 뜻에서 ‘파악(破惡)’

이라 하고, 비구로서 지키는 계행(戒行)은 능히 좋은 복전(福田)이 되므로 인과(因果)의 흉년을 없앤다는 뜻에서 ‘제근(除饉)’이라고 한다.

[비구니(比丘尼)]

출가수행하는 20세이상의 여자스님을 비구니라 하며, 348계를 지켜야 한다. 석사모니의 생존 당시에 시자였던 아난의 청을 받아들여서 부처님의 이모인 마하파자파티(大?道)에게 출가를 허락했던 것이 비구니의 시초이다.

필추니(苾芻尼)라고도 하며, 비구에 대한 칭호와 동일한 예로서, 걸사(乞士)녀라는 별칭이 있다.

[우바새]

불, 법, 승 삼보를 가까이서 받들어 섬기는 남자 재가신도를 말한다. 근사(近事)남, 근선(近善)남, 청신사(淸信士)라고도 하며, 일반적으로 거사(居士)또는 처사(處士)라 무른다.
우바새는 삼보에 귀의하고 5계(戒), 8재계(齋戒)등을 지켜야 한다.

[우바이]

3보를 받들어 섬기는 여자 재가 신도를 말한다. 근사(近事)녀, 근선(近善)녀, 청신(淸信)녀등으로 불리며, 일반적으로 사찰에서는 ‘보살’이라고 부른다. 우바새와 마찬가지로 삼보에 귀의하여 5계와 8재계등을 지켜야 한다.

 

[사미(沙彌)]

식(息)악(惡), 행자(行者), 근책(勤策)남 등이라마며, 20세 미만으로서 비구가 됙 전 단계에 있는 출가 수행자이다. 사미(沙彌)는 사미계(沙彌戒)를 받고 10계를 지켜야 한다.
사미의 나이에 따라 응법(應法)사미와 명자(名字)사미로 가가구별하기도 한다.

응법사미란 사미로서 수행할 수 있는 14세부터 19세가지의 사미를 가리키며, 명자사미는 20세가 넘어서 출가한 자로서 비구계를 받기 전까지의 사미를 말한다.

 [사미니(沙彌尼)]

근책(勤策)녀라고도 하며 18세 미만의 출가 여자 수행자이다.
비구니가 되기전인 식차마나 직전단계이마. 사미와 같이 10계(戒)를 지켜야한다.

[식(式)차(叉)마(摩)나(那)]

식차마나니(尼)니라고도 하며 학법녀(學法女),학계(學戒)녀, 정학(正學)녀등으로 불린다. 사미니가 되기 직전 단계의 출가 여자 수행자로서, 18세이상 20세 미만이 해당된다.
특히 그 기간에는 불음(不飮), 부도(不盜), 불살(不殺), 불허광어(不虛?語), 불음(不飮)주, 불비(不非)시식등의 6법을 수행한다.

[알림] 본 자료는 대전 계족산 용화사에서 제공된 자료입니다.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